간경변에 대하여

간경변에 대하여   간이 오랜 기간 계속된 부담으로 인해 섬유화되는 증상을 말한다. 간섬유화라고 말하기도 하며, 재생결절로 인해 간이 굳어버렸다고 말하는 단계이며, 그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를 말하기도 한다. 예전에는 흔히 간경화라고 말했었고 간섬유화라고도 말하곤 하는데, 보통은 간경변 또는 간경변증이 정확한 말이다.   간경변의 원인   과도한 음주10년 이상 과다하게 술을 마신 사람의 10~20%는 알코올성 간경변에 걸린다. … Read more

지방간에 대하여

지방간에 대하여   간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생기는 질병이자 생활 습관성 질환. 서구화 된 식습관으로 인해 원래 낮아야 할 동아시아 지역의 유병률이 10년새에 미친듯이 급상승한 질환으로 손꼽힌다. 아시아에서도 미국급의 초 거구의 비만 환자가 보이기 시작한 질환 중 하나에 당당히 1위를 차지하고 있다.지방질, 특히 중성지방이 간 무게의 5% 이상일 때를 말한다. 보통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 Read more

알도스테론증에 대하여

알도스테론증에 대하여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생성 및 배출하는 부신(adrenal gland)의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알도스테론이 과다 분비되어 나타나는 질병을 말한다.또한 속발성 고혈압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서 전체 고혈압 환자의 5~33%를 차지한다. 부신(adrenal gland)에서는 다양한 호르몬이 생성 및 배출된다. 부신은 크게 부신의 외곽에 위치한 피질(cortex)과 부신 내부의 수질(medulla)로 나뉜다. 수질에서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생성하며, 피질에서는 외곽에서 피질-수질의 경계까지 세분위로 나뉘어 알도스테론(aldosterone), … Read more

원발 쓸개관 간경화에 대하여

원발 쓸개관 간경화에 대하여   원발 쓸개관 간경화(Primary biliary cirrhosis, PBC)는 간 내부에 있는 작은 쓸개관이 어떠한 이유로 서서히 파괴되면서 만성적인 쓸개즙 정체가 일어나, 쓸개즙이 간을 손상시키는 질병을 말한다. 예전에는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었고, 일차성 간경변이라고도 한다.   원발 쓸개관 간경화의 원인   자가면역성 질환의 일종이다. 어떠한 이유로 면역 체계가 쓸개관을 구성하는 조직을 공격 … Read more

원발 경화 쓸개관염에 대하여

원발 경화 쓸개관염에 대하여 원발 경화 쓸개관염(原發 硬化 쓸개管炎,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은 간의 비교적 크기가 큰 쓸개관이 어떠한 이유로 서서히 파괴되면서 쓸개즙이 간을 손상시키는 질병을 말한다.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원발 경화 쓸개관염의 경우, 간 외부(extrahepatic) 및 내부(intrahepatic) 양쪽 모두 또는 한 쪽의 쓸개관의 벽에 염증이 생기고, 섬유화를 거치며 두꺼워지면서, 쓸개관의 내강(lumen)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 Read more

뇌전증에 대하여

뇌전증에 대하여   뇌전증은 경련과 의식 장애를 동반하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이다.   뇌전증의 원인   뇌전증은 불상의 단일 또는 복합적 원인으로 뇌의 특정 부분이 통제를 벗어나, 전기 화학 신호의 교란이 일어나며 유발된다. 뇌파에 변화가 생기므로 이를 검사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유발 부위가 다양하다. 확연히 드러나는 좁은 유발 부위가 있다면 뇌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 Read more

쿠싱 증후군에 대하여

쿠싱 증후군에 대하여   몸이 스테로이드에 과도하게 노출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증상 및 징후를 나타내는 질병이다. 스테로이드라 함은 몸이 호르몬 형태로 분비하는 (주로 당질) 코르티코이드일 수도, 약이나 식품 형태로 먹는 스테로이드일 수도 있다.부신(adrenal gland)에서는 다양한 호르몬이 생성 및 배출된다. 부신은 크게 부신의 외곽에 위치한 피질(cortex)과, 부신 내부의 수질(medulla)로 나뉘게 된다. 수질에서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 Read more

고혈압응급증에 대하여

고혈압응급증에 대하여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이 180 이상, 이완기 혈압이 120이상일 경우 고혈압긴급증(hypertensive urgency)라 하는데, 고혈압 응급증은 여기에 종말기관 손상(end organ damage)의 증상이 보일 경우를 뜻한다. 종말기관 손상으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주로 혈압이 급하게 올라갔을 경우 망막혈관에 손상이 나 유두부종(papilledema)이나 망막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저검사(funduscopy)가 필수이다. 그 외에 고혈압성 뇌증(hypertensive … Read more

저체온증에 대해서

저체온증에 대해서   저체온증은 임상적으로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인체의 열생산이 감소되거나 열소실이 증가될 때, 또는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되며, 저체온증은 갑자기 생기거나 점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혈액 순환과 호흡, 신경계의 기능이 느려진다.여름에도 에어컨을 지나치게 틀면 이 병에 걸릴 수 있다.   저체온증의 원인   물은 체온을 빼앗기 … Read more

만성 콩팥병에 대하여

만성 콩팥병이란?   만성 콩팥병이란 신장의 기능이 되돌릴 수 없을 만큼 저하된 상태. 만성 신부전은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몸의 질환의 합병증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있고, 신우신염, 신장염 등 세균 감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하였을 때 생겨나기도 한다. 과거에는 만성 신부전증이라고 하였다.   만성 콩팥병의 증상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Cr) 수치를 기본으로 하며 정상치는 0.8~1.2%로 2.0 가까이 도달하는 경우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