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당뇨에 대하여

2030세대에서 대두되고 있는 당뇨병

 

고혈압과 더불어 국민들의 만성질환으로 인식되는 당뇨병. 보통 사람들의 인식에는 당뇨병은 중년층 이상이 걸리는 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당뇨병이 20대에서 30대 사이 젊은 층에게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자료를 통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당뇨병 발생률 변화 추이를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국내 당뇨병 발생률은 2006년 인구 1000명당 7.7명에서 2015년 6.3명으로 감소했다. 문제는 20~30대 젊은 층은 2006년 인구 1000명당 1.3명에서 2015년 1.7명으로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2016년~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30대 당뇨병 유병인구수는 20대 6만 9천명, 30대 17만 9천명으로 적잖은 비중을 차지했다. 어쩌다 젊은 층에서 당뇨병이 확산되고 있는가?

 

2030 당뇨병의 원인

 

2030 세대의 주요 발병 원인은 불규칙적인 식생활,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을 선호하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등의 활동량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종일 앉아서 일하거나 공부하며 수시로 달콤한 음식과 음료를 자주 섭취하는 당 충전 습관은 당뇨병을 발병하는 위험성을 오히려 높이고 있다. 당뇨병은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으로 나누는데 40세 미만 젊은 성인에게 생기는 당뇨병은 제 2형 당뇨병에 해당한다. 제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전혀 만들지 못하는 경우이며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나오더라도 여러 원인으로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서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말한다. 여러 원인 중 비만은 인슐린 작동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그리고 비만은 당뇨병 진단 후 혈당 관리를 방해하고 당뇨병 합병증 발생 위험까지 높일 수 있다.

 

2030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은 초기에 뚜렷한 증상이 없어서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나이가 어려서 괜찮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초기에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다면 합병증의 위험률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생기고 20년 정도가 흐르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당뇨 합병증이 생긴다. 40대에 당뇨병이 생겨서 20년 뒤인 60대에 당뇨 합병증이 생기는 것과 20대에 당뇨병에 걸려 40대에 당뇨 합병증이 생기는 것은 꽤 큰 차이가 있다.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시기에 시력 저하와 투석, 당뇨발 절단등을 겪으면 환자한테도,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 날 수 있다. 여기서 더 큰 문제는 젊은 환자의 경우, 합병증 발생 속도가 더 빠르고 20년이 채 지나가기 전에 주요 장기의 합병증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 그렇게 되면 조기 사망 위험 또한 높아지기 마련이다. 당뇨병의 합병증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눈의 경우, 시력 저하와 시력 상실 등의 당뇨병성 망막병증이 나타나고 잇몸의 경우, 구취와 붓고 피가 나는 치주질환이 걸리고 뇌의 경우, 뇌졸중이 나타나고 심장의 경우, 흉통 등의 관상동맥 질환이 걸리고 콩팥의 경우, 거품뇨와 부종 등의 당뇨병성 신증이 나타나고 생식기의 경우에는 성기능이 저하하고 다리의 경우, 시리거나 저리고 운동할 때 악화하는 하지통증 등의 말초혈관질환이 있고 발의 경우, 궤양과 괴사 등의 당뇨병성 족부병변이 나타난다.

 

2030 당뇨병의 대처법

 

젊은 층은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체중 관리에 영향을 받기 쉽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굶거나 양을 줄이는 방법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방법을 취한다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유지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뇨병을 대처하려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데 젊은 층이 혈당을 관리한다는 것이 그렇게 쉽지 않다. 음식도 제한적으로 먹어야 하고 운동도 꾸준히 해야 하는데 젊은 층들은 사회생활을 왕성하게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제약이 많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젊은 사람들은 당뇨병의 완화에 이를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발병 초기에 확실하고 꾸준하게 관리하면 약물을 복용할 필요도 없고 당뇨병이 생기기 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어도 병이 악화되지 않는 수준으로 지속할 수는 있다. 꾸준한 식사 조절로 적정 체중과 허리 둘레를 유지하고 식후 10분 산책 습관을 가지는 등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 활동을 늘리고 균형 잡힌 식단으로 제때 식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 때 식단을 계획하기에 앞서 장기적인 체중 관리를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나이와 체중과 운동량과 업무량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고 본인에 맞는 적절한 열량을 정하고 그에 맞는 식단으로 세 끼 적정량을 섭취해야 한다. 이 때 식단을 적정 열량의 60%는 탄수화물, 15%는 단백질, 25%는 지방으로 구성하면서 탄수화물은 가능하면 당 지수가 낮은 전곡류, 콩, 과일, 채소, 유제품 등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포화 지방이나 트랜스 지방이 많은 가공 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자연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평소에 꾸준하게 좋은 생활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겁게 생활하는 것이 좋으며 숙면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금연을 실천하고 과도한 음주를 피하는 행동 패턴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자신의 혈당을 꾸준히 확인하고 당뇨병 이전 단계에 해당해도 생활 습관 전반을 점검해 관리에 나서는 것이 좋다. 특히 당뇨병 가족력이 있다면 생활 습관을 더욱 철저히 관리하고 정기 검진을 자주 받아야 한다.

 

이것으로 2030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대처법을 설명해 보았다. 이른 나이에 당뇨병과 당뇨병 합병증까지 발생하면 삶의 질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조기 사망의 위험이 높아진다. 젊은 나이에도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평소에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서 건강 검진을 통해 본인의 혈당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좋다. 초기에 발견한 당뇨병은 올바른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 등으로 규칙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당뇨병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