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그렌 증후군에 대하여

쇼그렌 증후군에 대하여

 

자가면역질환중의 하나로, 백혈구의 눈물샘 및 침샘 침투로 인해 이 기관들이 파괴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그 외 피부, 폐, 갑상샘 및 간 등에도 침투해 관련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1933년, 스웨덴의 안과 의사 헨리크 쇼그렌(Henrik Sjögren)이 처음 발견하였기에 쇼그렌 증후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발병률은 약 0.7%로, 환자의 90%가 여성이다. 주로 중년(40~50대) 경에 많이 발생하지만, 30대 미만 및 60대 이상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25만~50만 명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자가면역질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통계가 없어서 한국에서는 쇼그렌증후군이지만 진단받지 못한 환자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약 150만~400만 명(전체 인구의 약 0.5~1.3%)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250만명은 미진단 상태일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기준 신규 쇼그렌 증후군 환자 1,615명, 폐침범동반 쇼그렌 증후군 환자 524명이 보고되었다. 총 누적 환자 수는 2019년 기준 21,282명이다. 다만 이마저도 추정치(25만~50만)의 10%에 못 미치기 때문에, 안구 건조나 구강 건조가 3개월 이상 지속 시 적극적인 검사가 요망한다.

 

쇼그렌 증후군의 증상에 대하여

 

가장 흔히 안구건조증이 발견된다. 눈이 따갑고 붉어지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는 구강 건조증 및 충치가 발견될 수 있다. 물론 안구건조증은 정상인의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겪을 수 있는 증상이다. 그러나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안구건조증은 그것이 거의 매일이라고 봐도 될 정도로 빈번하게 일어나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될 정도이다. 종종 ‘wax-and-wane’, 즉 증세가 완화되었다가 악화되었다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증세가 갑작스럽게 크게 나타나는 것을 가리켜 ‘쇼그렌 플레어(Sjogren’s Flare)’이라 부른다.

속발성 쇼그렌 증후군으로 인한 관절염, 만성 피로 및 신장염과 혈관염도 자주 보여지게 된다.

그 외에 근육통과 관절통도 가끔씩 보인다.

기억력 및 집중력 감소, 자율신경계 기능 부전, 두통
안구건조증, 각막궤양 또는 각막감염(건성 각결막염 등), 안검염
비강건조증, 재발성 부비동염, 재발성 비알레르기성 비염, 비강내 출혈(코피)
구강건조증, 구내염, 충치, 씹거나 말하는 것의 불편함
이하선 및 침샘의 부어오름 또는 통증
삼킴 불편증, 속쓰림, 역류성 식도염
피로, 혈관염, 림프종, 피부건조증
재발성 기관지염, 간질성 폐질환,폐렴
관절염, 근육통(또는 섬유근육통), 늑막염
비정상적인 간기능검사 결과, 만성 활동성 자가면역성 간염, 원발성 담즙성담관염
말초신경병증, 레이노 증후군
소화불량, 위마비, 자가면역성 췌장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위장관 운동 이상
간질성 방광염, 단백뇨
질내건조증, 외음부통증 (여성의 경우) / 만성 전립선염 (남성의 경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쇼그렌 증후군 환자의 경우 면역반응으로 인한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의 파괴, 즉 마이봄샘 기능 장애로 인해 눈물의 증발이 더 심하게 일어난다고 한다. 해당 연구에서 눈물의 생성량은 비-쇼그렌 안구건조증 환자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참고로, 쇼그렌 증후군의 환자에게서 림프종이 발병할 확률이 매우 높다. 쇼그렌 증후군이 의심될 경우 간비종대 및 임파선염을 찾는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게 된다.

쇼그렌 증후군에 대한 대처법에 대하여

 

쇼그렌 증후군은 혈내검사에 다양한 항체들이 나타나게 된다. 약 95%이상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ANA 항체(항핵항체)가 보여지며, 50% 이상의 환자에게선 류마티스 관절염과 관련된 항체인 RF가 보여지게 된다고 한다. 또한 Ro(SS-A)와 La(SS-B)의 항체가 40-50%의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게서 보여지기도 하는데, 이때 특히 Ro(SS-A) 항체가 발견된 환자군에서 신생아 루푸스의 발병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다만, 존스홉킨스 대학교 쇼그렌증후군센터에 따르면 ANA 항체 음성이 반드시 쇼그렌 증후군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며, ANA 항체 양성은 정상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정확한 진단은 쉬르머 검사를 통해 눈물샘의 눈물 분비를 측정하거나, 침샘 생검, 각막 및 결막 염색 검사, 혈액내 항체 검사 등을 통해 내리게 된다.

안구 및 구강 건조증은 콜린작동제인 필로카핀 및 세비멜린을 이용해, 샘들의 분비물을 촉진 시키게 된다. 그 외 인공 눈물을 통해 건조증의 증상을 완화하고, 구강을 청결하게 관리해 다른 합병증을 예방하게 된다.

관절염 등의 증상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 및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을 이용해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