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등 방역 규제가 완화된 이후 많은 사람들이 무더위를 해결하기 위해 바다나 계곡, 해외등으로 여행하는 등 바깥으로 나가는 여름 휴가를 보내려고 한다. 연구에 의하면 한 번에 며칠 동안 쉬는 것이 건강에 득이 된다고 하며 최소 1주 이상 휴가를 내는 것이 몸과 마음 건강에 이점이 있다고 하였다. 휴가를 사용하는 것이 심장 건강을 돕고 수면시간을 늘리며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여름 휴가 동안에도 위험요인이 도사리면서 각종 질환에 노출될 수 있어서 건강 관리와 안전 예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가장 먼저 주의해야 할 질환은 식중독이다. 식중독은 음식을 섭취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유입되며 발생한 증상으로 장마 전후 시기에 다양한 세균 및 곰팡이가 증식하는 환경이어서 위생 관리에 소홀할 경우 급성장염을 유발할 수 있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조리 전에 반드시 손을 씻고 날 것의 음식보다 충분히 가열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또 식중독에 걸리면 대부분 설사가 동반되어서 탈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더운 날씨속에서 몸을 시원하게 유지하기 위해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객들이 일반적이다. 이럴 떄 눈 질환에 걸리기 쉬워 주의해야 한다. 수영장에는 염소등의 각종 화학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에 수영이 끝난다면 깨끗한 물로 세안하고 눈쪽은 수돗물보다는 인공눈물을 점안해 세척하는 것이 좋다. 계곡이나 강에는 화학물질이 없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안구를 보호하는 결막에 침투해 염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깨끗하게 세척해야 한다. 추가로 물에 들어갈 때 콘택트 렌즈를 사용할 시 세균이 콘택트 렌즈에 붙어서 치명적인 각막 손상을 일으키며 실명까지 일어날 수 있기 떄문에 반드시 콘택트 렌즈를 떼고 물에 들어가기를 권장한다.
여름 휴가철에 산이나 바닷가등에 햇빛에 지나치게 노출된 경우 자외선으로 인한 일광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당기면서 화끈하고 따가운 증상은 일광화상이 발생한 증거이니 즉시 야외 활동을 중단하도록 한다. 초반의 일광화상을 발병할 시에는 차가운 물이나 알로에, 무알콜 화장수, 얼음찜질 등으로 피부를 냉각 및 진정시킬 수 있으며 차가운 우유에 적신 수건을 이용해 피부를 진정하면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 성분이 피부 장벽을 보호해 줄 수 있다. 물집이 생긴 이후 농포가 발생한다면 피부의 2차 세균감염을 의심해야 하며 병원에서 항생제 및 소염제등을 처방해야 한다. 병원 진료를 받기 어렵다면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면 염증 반응과 통증이 경감된다. 또 증상이 심한 부위에 뜨거운 물이나 샴푸, 향수나 자극적인 클렌저나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화장품등의 접촉은 자극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여름 휴가철날 주의해야 할 사항을 잘 알아두고 각별히 주의하면 건강하고 안전한 휴가를 보내면서 심신 안정을 취하는 등 긍정적인 시간을 지낼 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1주 이상 휴가를 보내면서 한 번에 쉬는 것이 스트레스를 줄이고 심장 건강에 득이 된다고 하니 안전에 유념하면서 즐거운 휴가생활을 보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