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기능 저하증에 대하여
갑상샘 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샘의 호르몬 생성이 원활하지 않아 체내에 갑상샘 호르몬(티록신)농도가 저하 또는 결핍된 상태를 총칭한다. 그 자체로 질환이라기 보다는 병세(결과)이며, 원인에 따라 두 가지 분류로 나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원인
속발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원인으로는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특징적으로 TSH와 T4 수치의 저하가 발견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증상
만성 피로, 무기력함, 생리불순, 체중 증가 및 추위 증가증 등이 나타나게 된다. 그 외 변비와 집중력 저하가 동반되며 우울증 등이 보이기도 한다. 좌우 어느 쪽의 감상샘의 기능이 저하되었는지에 따라서 해당하는 쪽의 손이 떨리기도 한다. 양손을 주먹 쥐고 앞으로 뻗으면 확연히 드러난다.
신체검사에서 건조하거나 쉽게 붓는 피부가 보이며, 목이 자주 쉬고, 비요흔성 부종이 특징적으로 발견된다. 수근관 증후군이 동반되며, 심건반사에서 느린 이완기가 나타난다. 그 외, 서맥이 보이며, 하시모토 갑상염의 경우, 고무같은 갑상샘종이 촉진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에 대한 대처법
원발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경우, 혈액 내 TSH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이는 갑상샘 기능 저하증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가장 민감한 지표이기도 하다. T4의 수치는 약간 낮게 나타나거나 정상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그 외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의 수치가 상승하고, 고밀도 지방단백질(HDL)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하시모토 갑상샘염의 경우 항미세소체 항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속발성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경우, 혈액 내 TSH 수치가 낮게 나타난다.
레보티록신은 합성 갑상샘 호르몬으로, 갑상샘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매일 아침 하루에 한번 복용하며, 리보티록신 복용 후 약 2-4주 안에 효과가 나타난다. 그 후 정기적으로 TSH 수치를 검사하게 된다.
완전 치료법은 아직 미발견되었다.